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기초지식

대지지분 개념 뜻 한번에 쉽게 이해하기

by 오후경매 2022. 9. 2.

재개발 재건축 시 대지지분이란 뗄 수 없는 관계이죠. 그만큼 대지지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자주 듣는 용어인 만큼 쉽게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개념으로는 공동주택 전체의 땅 면적을 소유자 명수대로 나눈 면적을 뜻하는데요. 쉽게 말해서 다 같이 공유하고 있는 땅이 있는데 그 땅의 내가 얼마만큼 소유하고 있는지 따져보는 것이 바로 대지지분입니다.

 

 

예시

예시로, A아파트 601동 1001호의 전체 토지면적이 1000 m2 일 때, 등기부를 떼어보니 대지면적 비율로 30/10000이라고 되어있다면

대지지분은 30m2 가 됩니다. 

 

대지지분이 중요한 이유

재개발과 재건축은 헌 집을 새집으로 바꾸는 사업이죠. 즉 오래된 집을 없애고 주거환경을 보다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새 집으로 다시 짓는 사업인데요. 여기서 중요한 점은 기존의 헌 집을 이미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에게 새집을 그냥 줄 수는 없겠죠.

 

 

기존 집이 1억이었는데 새로 짓는 집이 5억이라면 추가로 4억을 내야지 그 집을 들어갈 수 있는 건데요. 그 4억이 추가 분담금이 됩니다. 

 

이때 새집의 가격 (기존 헌 집의 주인이 새집을 들어가기 위한 분양가)의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합원 분양가
조합원 분양가

위 계산방식으로 우리는 조합원 분양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때 추가분담금을 적게 내려면 종전자산평가액이 커야 됩니다. 

그럼, 종전자산평가액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바로 헌 집의 평가액을 말합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이 헌 집이 어느 가격대로 평가를 받았는지 중요하게 됩니다.

 

 

이 평가가 높은 금액으로 측정이 될수록 내가 내야 할 추가분담금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죠. 

 

그럼 이때 평가액이 어떠한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일까요?

헌 집을 없애고 새집을 주는 과정에서는 헌 집에 대한 평가를 높게 해 주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부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통 아파트를 소유하든 빌라를 가지고 있든 토지와 건물을 같이 소유하게 되는데 이때 주로 토지에 대한 평가로 이뤄지게 됩니다. 

그래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다면 종전자산평가액은 높아지게 되고 추가로 납부해야 할 분담금은 적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지지분이 중요합니다. 

 

우리 집 대지지분은 어떻게 확인할까?

우리 집의 등기부등본 (=등기사항 전부증명서)를 확인하면 되는데요. 등본상 표제부 쪽에 보면 대지권 비율에 기재가 되어있습니다. 

 

결론

대지지분이 많다는 것은 감정평가를 많이 받을 수 있게 되면서 나중에 재개발이나 재건축 시 추가 분담금을 적게 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많을수록 좋은 거죠. 그래서 기존 헌 집을 구매할 당시 대지지분이 많은 것을 미리 살펴보시고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내가 가지고 있는 대지지분에 따라 비례해서 아파트 면적이 넓어지고 평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투자했던 투자금에 비해 손해율이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투자하기 전 대지지분을 확인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

 

다른 포스팅 더 보기

2022.08.31 - [부동산 기초지식] - 전세 빨리 나가는 법 쉽게 알아보기

 

전세 빨리 나가는법 쉽게 알아보기

전세를 껴서 하는 갭 투자를 하다 보면 부동산 투자에도 전세가 잘 빠지는 시기가 있고 그렇지 못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2018년과 지금처럼 전세 세입자를 비교적 구하기 어려운 시기도 있기 마

ohustudi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