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기초지식12 시세차익 vs 임대수익 투자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 본인이 직접 거주할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함으로써 나중에 팔 때 가격이 올라 시세차익을 볼 것인지, 혹은 월세를 받으면서 임대수익을 받을 것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내가 어떻게 무엇을 목적을 두고 주택을 구매하는지에 따라 기준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좀 더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판단해야 할 것은 내가 산 주택에서 직접 실거주를 하고 싶은지 아닌지를 결정을 하면 선택하기에 수월합니다. 각 상황별 유리한 점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현재 본인의 상황이 구입한 주택에서 직접 거주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일 경우 이럴 경우에는 임대를 주고 월세를 받는 임대수익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중에는 본인이 직접 거주하려고 하는 집이 있을 때 1가구 1 주택의 비과세.. 2022. 8. 30. 경제적자유로 상가 월세받는 것이 가장 좋은 이유 우리는 오로지 자기 자신을 위함이 아닌 남을 위해 또 다른 누군가를 위해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루라도 빨리 우리는 '경제적 자유'를 이뤄내게 되면 이 굴레에서 벗어날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선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내가 남을 위해 일할 때도 내가 잠을 잘 때도 자동화 시스템은 오로지 남이 아닌 나를 위해서만 돈을 벌어다 줍니다. 가장 빨리 그리고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로서 대표적인 예로 상가로 월세 받는 것이 있는데요. 왜 상가로 월세를 받아야 하는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가로 월세를 받아야 하는 이유 BEST 3 1. 시간은 한정적이다. : 우리에게 대부분의 시간을 남에게만 몰두하고 쏟게 됩니다. 그동안 나를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남을 위해 일하며 월급이.. 2022. 8. 28. 임대차3법 개념 원리 최근 임대차3법 관련한 뉴스와 기사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임대차3법' 간단하게 뜻과 기본적인 원리를 쉽게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대차 3법'이란? 아래 3가지로 나뉩니다. 1. 계약갱신청구권제 2. 전월세 상한제 3. 전월세 신고제 먼저 계약갱신청구권제는 쉽게 말해서 임대차 계약을 '갱신'하겠다. 즉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을 '계약 더 하길 원합니다'라고 희망하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세입자에게 현재 임대차 계약기간을 최대 합쳐서 4년까지 살 수 있게끔 1회까지 보장받을 수 있게 됩니다. 임대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까지 계약 갱신을 원하게 되는 경우 임대인의 다른 이유가 있지 않는 이상은 거절하지 못합니다. 보통 기존에 우리는 전세 계약이 2년 정도를 합니다. .. 2022. 8. 20.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최근 뉴스나 기사를 보다 보면 한국의 기준금리가 꾸준히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는 소식 많이 접해보셨을 겁니다. 올해 연말까지도 더 올린다는 소식이 있었는데요. 미국 연방(연방준비위원회)에서 너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물가를 진정시키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그에 대한 영향을 피해 갈 수가 없죠.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가 계속 올라갈 경우 은행들도 똑같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대출받는 것이 부담이 갈 수밖에 없습니다. 아자율은 금리가 올라가는 만큼이나 더 오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런 고금리로 가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신혼부부들이 저렴한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입니다. 그럼 자격요건, 한도 등이 .. 2022. 8. 17. 이전 1 2 3 다음